본문 바로가기

자영업에 대한 경험

공유주방 및 배달매장 창업시 중요사항들(체크사항)

728x90
반응형
SMALL

공유주방 체크사항

 

 

1. 공유주방 실제적으로 시설의 완성도 및 수리요청 가능한지 파악

( 예를 들어 햄버거 브랜드는 환기구가 정말 중요해서 어설픈 곳에서 하면 공유주방 시설도 피해받고 당사자도 엄청 손해보는 경우 생김)

2. 공유주방 실질적으로 배달로만 수익 낼려면 단가 2만원이상 메뉴(족발,치킨,피자,곱창)등 하는게 좋음. 

3. 수익성 파악하기

 

 

<현재 공유주방을 창업시 알고 가면 좋은 것들 적어봅니다>-실제로 현재 저는 운영중입니다.

 

-배달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셔틀, 위메프오 등 수수료 체계확인하기

-배달대행업체 Km당 비용, 비올때, 눈올때, 아프트단지일때 등 개별수수료 및 월회비형식 비용까지 파악

(업체는 바로고,생각대로,스파이더 등 다양함, 생각대로는 업체가 큰편이라서 다른곳보다 수수료가 비쌈, 다만 기사님들이 다른곳 보다 많아서 왠만해서 배달 픽업이 늦는 경우는 잘 없음, 대신 프로그램은 스파이더가 좀더 편리함. 각각 회사마다의 장단점 있으니 꼭 잘 파악하고 선정하기 바람.)

 

-배달의민족 광고 비용 측정하기 (깃발8개 사용시 월 고정비용)

-공유주방 월세 파악(예를 들면 월세 150만원 다만, 부가세 포함시 대략 165~170만원), 공용관리비, 물세, 전기세, 가스비 파악=> 아마도 못해도 고정비 250만원이상 넘어감. 조금이라도 저렴한곳을 찾기를 바람

-공유주방에서 몇명이서 운영할지 인건비 파악

-매달 직원들 인건비 계산해서 세무사한데 전달해야함

-1년에 빠질 부가세, 소득세, 지방세 비용 파악

-종합소득세 비용 수수료는 따로 또 측정함(세무사한데 맡겼을때)

-세무사 이용시 월고정비

-4대보험 이용시 월 고정비용 1인당 40만원 이상
(만약에 직원들이 있을경우 비용 더 증가,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부분도 있으니 참고)

-직원고용시 주휴수당 적게 나오게 하려면 직원들 시간별로 쪼개서 더 뽑게 되면 그만큼 인건비 계산 더 해야함.

-매달 세무사한데 배달로 발생한 배달매출 부가세비용 첨부정리( 각 업체마다 사이트 들어가서 첨부받아서 줘야함, 상당히 번거로움)

-참고로 공유주방 처음부터 끝까지 오픈은 당사자 내가 하는 것이다. 업체에서는 그냥 기간에 맞게 오픈할것만 도와주지 공유주방에 의지해서는 안된다.

-자영업할시 사업자통장, 사업자카드 이렇게 한개 통장으로 하는게 원가 계산하기 편함

-공유주방에서 장비 세팅할때 거리 및 동선 파악해서 세팅할것( 서울에서는 "황학동 온라인" 네이버 검색하면 원하는 물건 견적알아봐주고 중고 및 새장비 시중보다 조금이라도 저렴하게 구매가능 또 기본2개월정도는 물건고장 보장해주는 걸로 암)

 

-계약서 서명할때 꼭 잘 체크하기

=>계약기간 다 못채우고 나갈시 보증금 포기

=>계약만료시 청소비용 청구 등 다양한 조건들이 있기때문에 계약서를 디테일적으로 확인하고 거기 담당 직원한데 다시 한번 체크 받기 혹여나 영업담당자는 언제든지 퇴사할수도 있기때문에 모든 책임은 오픈한 나의 책임으로 됨.

 

-가게 운영시 될 수 있으면 야채, 고기, 기타 발주들 왠만하면 한곳에서 하는것이 편함

(예를 들어서

고기 구매-미트박스

식자재-식봄

야채 구매-야채아저씨(왠만하면 공유주방 이용시 옆에 사장님들한데 물어보면 가르쳐주심)

일회용품 구매-배달의민족)

 

-공유주방 및 가게운영전에 가스, 전기비용 등 자동이체로 빠질수 있게 바로 등록(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해서 미리등록)

-식자재 사이트 및 구매사이트 이용시 사전에 가입해서 사업자 세금계산서 발행 할 수 있게 사업자등록증 첨부해서 등록하기

-사업자등록증 및 영업신고증, 보건증 등은 "CanScanner" 앱 다운받아서 서류 사진찍어두면 자동으로 스캔문서로 변형해주 유용함.  그리고 앱에서 "모바일 팩스" 검색해서 다운받아두면 스캔문서로 만든 파일 바로 팩스없이 모바일 팩스로 보낼수 있음 아주 유용함.

 

-상권선택의 중요성

=> 강남 상권이 확실히 유동인구나 직장인들도 많고 해서 잘 될줄 알고 들어왔지만, 그마큼 경쟁업체가 많아서 정말 쉽지않음.그리고 주말에는 생각보다 매출이 별로 좋지 않음. 차라리 조금 외각이여서 아파트나 주거 상권이 많은 곳도 나쁘지 않음. 경쟁업체가 생각보다 적기 때문에 그래도 그나마 괜찮은 아이템으로 승부하면 나쁘지 않다고 봄.

실제로 샵인샵으로 다른 브랜드를 문의해서 강남상권쪽 애기하면 담당자들 중에서 솔직히 얘기해주시는 분들은 강남은 경쟁업체가 너무 많아서 실제로 매출을 어느정도 낼수 있을지 장담못한다고 함. 그리고 무엇보다 깃발의 양도 타지역에 비해 강남은 거의 2배 이상 깃발 꽂아야됨. 실제로 프랜차이즈나 좀 큰곳은 깃발 20개씩 꽂음. 경쟁해서 이길 자신있으면 강남이나 치열한 상권 들어가도 됨...솔직히 추천안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