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투자 증권 자료>
언택트 수요 둔화 개시
– 코로나19 특수에 따라 매우 높게 형성되었던 PC, 스마트폰 업체들의 CY21 출하량 전망치가 일부 부품 부족 문제 및 1Q21 판매 부진에 따라 하 향 조정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음. Quanta 등 ODM 업체들에 따르면 NB 고객들의 2Q21, 2H21 주문량이 하향 조정되었으며,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은올해출하량이최악의경우 전년 수준에머물 수 있다고언급 중
– 반면 아직 서버 부문에서는 고객들의 주문 축소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재고가 매우 낮은 수준인 Memory 반도체 업체들에 대한 주문 강도에도변함이없는 상황
– 당사는PC, 스마트폰수요 둔화를반영하여CY21DRAM 수요 증가율전망치를기존의27.8%에서 24.7%로 하향 조정함
– 각 Application의 수요가 정상 수준으로 돌아온다는 가정 하에, 코로나19에 따라 비정상 상황이었던 CY20을 제외한 지난 10년 간의 평균 분기 수요 QoQ 증가율을반영하면CY22DRAM 수요 증가율은17.9% (PC +7.6%, 스마트폰+19.9%, 태블릿 -4.1%, TV+5.5%, 서버 +24..0%)
PC 수요전망
4월 이후 성장률 둔화
– 대만 노트북 ODM 4월 출하량은 14.8백만대로 YoY 증감률이 전월의 +40%에서 +9%로 하락했으며 3월 출하량 대비 12% 하락. 5월, 6월 출 하량은4월 대비증가할 전망이나,2Q21 출하량 QoQ 증가율은당초계획이었던20~30% 대비 축소되는10% 수준에머물 것으로 판단됨
– 최대 NB ODM 업체인 Quanta에 따르면 최근 동사 고객들이 2Q21과 2H21 주문량을 축소시켰으며, HP는 올해 동사 출하량 목표치를 당초 대 비 10% 가량 하락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음. 최근 PC 주문 및 출하량 축소는 부품 부족의 영향도 있으나, 강력한 Untact 수요 지속에 대한 기대 로 비현실적인목표치를세웠던Set업체들이최근판매 둔화를계기로이를 하향 조정하고있기 때문인것으로 판단됨
– 3Q21, 4Q21 PC 출하량 YoY 증감률은 역기저 효과에 따라 추가 하락할 전망이며, 당사는 CY21 증감률을 당초 전망치였던 +23.5%에서 +16.8%로 하향 조정 – 코로나19에 따라 비정상 상황이었던 CY20을 제외한 지난 10년 간의 평균 분기 출하량 QoQ 증감률을 반영하면, CY22 PC 출하량 증감률은 -2.6%를 기록할 전망임
스마트폰 수요 전망
인도 시장의 코로나19 악영향과 중국 시장 판매 부진
– Counter Point에 따르면 인도 시장 2Q21 스마트폰 출하량은 코로나19 악화에 따라 당초 예상치 39백만대에서 26백만대로 감소할 전망이며, 2H21에 코로나19완화에 의해기대되는출하량급증을감안해도CY21 출하량이당초 예상치 182백만대에서170백만대로축소될 전망임
– 중국 시장 4월 스마트폰 출하량은 27.0백만대로 YoY 증감률이 전월의 +68%에서 -34%로 급락했으며 일반적인 계절성과 달리 3월 출하량에 비해서도 24% 하락. Digitimes Research에 따르면 5월 출하량 역시 4월 대비 증가하기 어렵고 2Q21 출하량은 1Q21 대비 최소 15% 이상 감소할것으로전망됨.중국 스마트폰업체들은최악의 경우CY21 출하량이전년 수준에머물 가능성이있음을언급중
– 중국 시장의 최근 스마트폰 출하량 급감은 지나친 기대감에 의한 1Q21 출하량 급증과 달리 5월까지의 실제 판매가 예상을 크게 하회했음에 따 른 것으로판단됨.당사는 이를반영해 CY21 스마트폰출하량 증감률전망치를당초의 11.0%에서 7.0%로 하향 조정
– 코로나19에 따라 비정상 상황이었던 CY20을 제외한 지난 10년 간의 평균 분기 출하량 QoQ 증감률을 반영하면, CY22 스마트폰 출하량 증감 률은 +3.2%를 기록할전망임
DRAM 업황 현황 및 전망
낮은 재고 수준에 따라 아직 양호한 DRAM 업황
– 일부 고객들의노트북,스마트폰 Set출하목표치 축소에도불구하고아직 고객들의DRAM 주문 감소는나타나지않고 있음
– CIS 등 일부 반도체에 대한 스마트폰 고객들의 주문 축소 소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DRAM 부문에서 양호한 고객 매수가 이어지고 있는 것은 DRAM 업체들의 재고가 2주를 하회하는 극히 낮은 수준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고객들의 평균 DRAM 재고는 PC 업체 5주 이하, 스마트폰 업 체 6주, 서버업체 10주로 서버 업체들을제외하면아직 정상 수준이고서버업체들의재고도 2Q21 이후 서버 생산 증가에따라 축소전망
– 아직 고객 DRAM 재고가 과잉이 아니고 DRAM 업체들의 재고는 극히 낮은 수준이므로 당분간 DRAM 수급은 양호한 상황을 이어가고 3Q21에도 DRAM BlendedASP가 10% 이상 상승할수 있을 전망임
– 단 각종 부품 가격 상승에 따른 Set 고객들의 마진 압박 및 현물가격 정체에 따라 4Q21부터는 DRAM 고정거래가격 인상에 대한 고객들의 저항이 강해질것으로판단됨
Memory 반도체 업황 전망
CY21 Memory Capex 증가율 22%예상
– 각 업체들의CY21 가이던스를종합하면DRAM, NANDCapex는전년대비 각각 26%, 17% 증가하는266.5억 달러와247.9억 달러로추정됨
– CY21 전체 MemoryCapex는514.4억 달러로 전년대비 22% 증가할것으로예상됨
CY21 Capex 증가에 따라 CY22 Memory 반도체 출하 증가율은 크게 하락하기 어려울 듯
– 삼성전자는 CY21에 P2 라인에서 DRAM 70K, 시안 2차 라인에서 NAND 65K 투자를 실시하며, DRAM, NAND Capex를 각각 14조원, 12조원 사용할것으로 예상됨
– SK하이닉스는 M16 및 우시 라인에서 DRAM 30K, M15 라인에서 NAND 20K 투자를 실시하며,DRAM, NAND Capex를 각각 9.4조원, 5.4조원 사용할전망임 – Micron의가이던스에따르면동사의CY21Capex는전년 대비14% 증가하는90억 달러를 기록할듯
– CY21 업계 Capex 규모를 감안 시, CY22 DRAM, NAND 공급 증가율이 CY21 대비 크게 증가하기는 어려우나 대폭 하락할 가능성도 낮 은 것으로판단됨
CY22 Memory 반도체 업황은 CY21 대비 소폭 둔화될 전망
– Memory 반도체 업황은 CY16의 높은 수요 증가율에 따른 고객들의 재고 축적으로 CY17, 1H18까지 호황을 보였으나 이후 CY19말까 지는 서버 고객들을 중심으로 한 과잉 재고 문제에 따라 업황이 둔화되었음. CY20과 CY21에는 코로나19에 따른 강력한 Untact 수요와 이전 연도들의Capex축소에 따른낮은 공급 증가율에 의해업황 호조세가나타나고있음
– CY22에는CY21의Capex증가와 높은수요 증가율에 따른 역기저효과로업황이둔화될가능성이높은 것으로예상됨
– 단 현재 고객들의 재고가 아직 높지 않고 DRAM 업체들의 재고는 매우 낮은 수준이므로 CY22 Memory 반도체 업황 및 가격의 낙폭은 그리 크지않을 것으로판단됨
삼성전자 매수 투자의견 유지하나 목표주가 하향(92,000원)
– 동사 2Q21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15% 증가하는 10.8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IM 부문에서는 갤럭시 S21 출하 감소와 일부 부품 부 족 문제에따른 스마트폰출하량하락에따라 영업이익이2.9조원으로전분기대비 35% 감소할 것으로추정됨
– 단 반도체 부문에서는 DRAM, NAND ASP 상승과 오스틴 라인 가동 완전 회복에 따라 동 부문 영업이익이 88% 증가하는 6.3조원에 달하고 DP 부문에서도최대 고객의보상금지급에따라 영업이익이소폭 증가할것으로판단됨
– 3Q21에는 전부문에 걸친 실적 개선에 따라 동사 영업이익이 16.3조원으로 전분기 대비 52%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 3Q21에도 DRAM, NAND ASP가 높은 상승세를 지속하고 계절적 출하 증가에 따라 System LSI, DP, IM 부문의 실적도 빠르게 상승할 전망임. 특히 IM 부문에서 는 고가 폴더블폰의본격 출시가예정되어있으므로이익률의회복도기대됨
– 물론 동사 Val. 배수와 동행해온 글로벌 유동성 YoY 증감률 및 미국 ISM 제조업
– 서비스업 지수의 하락이 예상되므로 당사가 그간 동사 목표주 가 산정을 위해 적용했던 역사상 최고 P/B 배수 2.2배에 대한 하향 조정이 불가피함. 이에 더해 CY22 반도체 업황 및 동사 실적 개선 모멘텀의 둔화도예상되므로동사 목표주가에대한 하향 조정이필요함
– 동사 현재 주가는 CY21, CY22 예상 BPS 대비 1.8배, 1.7배로 동사 주가에 적용되었던 지난 10년간 연간 고점 배수들의 평균 수준에 해당됨. 그러나 최근 동사의 배당 수익률이 급격히 상승 중이라는 점, 고성장이 예상되는 Foundry 부문에서 GAA의 성공 시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다 는 점, 동사 성장성을높여줄M&A의발생 가능성이있다는점을 반영할필요가있음
– 이에 따라 당사는 동사 목표주가 산정을 위해 최근 상향된 지난 3년간의 연간 고점 P/B 배수의 평균인 1.9배를 CY22 예상 BPS에 적용하였으 며 이러한과정으로도출된 신규 목표주가는92,000원
– 최근 동사 주가 조정 폭이 큰 상황에서 2Q21, 3Q21 실적의 대폭 개선이 예상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함. 단 주가 회복 시, 공격적인매수관점보다는상황을지켜볼필요가있는 것으로판단됨
SK하이닉스(목표주가 165,000원)
<개인적인 의견>
SK하이닉스 및 삼성전자가 3,4월 및 향후 당분간 매출부분에서 줄어들수는 있지만, 올해 하반기까지 생각한다면 충분한 실적이 나올것이라고 예상한다. 아직 미국 제조업이나 코로나의 영향이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상황들이 나아질것이라고 보기에 괜찮다고 보고 , 무엇보다 삼성전자는 기술력에서 큰성장력이 더 있을꺼라고 본다.
레이크머티리얼즈에 투자중인데 반도체관련해서 연관되는 기업들이기에 관련자료를 가지고 와서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워낙 현재 반도체부품에 대한 부족이 심하기에 꾸준한 실적이 나올것이라고 보고, 다만, 현재 부품가격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되고 있지만 이부분은 올해안으로 시간이 지나면 안정화 될 것이라고 본다.
큰 기업들의 사업방향과 진행상황들을 알수 있다면 그 관련 기업들의 실적과 방향도 차근 더 알 수 있다고 본다.
'경제 및 기업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정상회담으로 인한 중소형주 반도체관련주 영향(레이크머티리얼즈) (0) | 2021.05.25 |
---|---|
주요 김치코인 발행사 자본금 및 임원현황(보라코인, 엠블,캐리프로토콜,센티넬프로토콜,아로와나토큰 등)-기사자료 (0) | 2021.05.24 |
가상화폐 패닉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증권사 보고서) (0) | 2021.05.23 |
돈의 흐름은 어디로 갈 것인가?(코인,주식,부동산 등) (1) | 2021.05.23 |
레이크머티리얼즈(장기적인 투자,성장성, 실적) (0) | 2021.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