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기업공부

저출산 시대에 교육주를 산 이유?(한국뉴딜후속조치 자료), 주식인사이트,주식공부, 통찰

728x90
반응형
SMALL

<어떤 투자자의 투자 인사이트>

 

-저출산 시대에 교육주를 산 이유?

 

19살 때의 일이다. 당시 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었고 남들보다 뒤늦게 수능 공부를 열심히 하기 시작한 학생이었다.

내가 재학한 고등학교는 대치동에 소재하고 있었으며, 그곳에는 학구열에 불타는 최상위권 학생들이 많았다. 당시 사교육 시장은 메가스터디라는 회사가 대부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다.(당시 메가스터디의 주가가 10만 원대였다) 이는 메가스터디의 CEO이자 스타강사이던 손주은이 사교육서비스업체 역사상 최초로 코스닥 상장에 성공하며, 회사의 규모와 선점 효과를 바탕으로 다른 업체들에 비해 우위를 점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나는 당시 수험생이었기에 교육 회사와 관련해 누구보다도 더 잘 알고 있었고, 특히 내가 수능을 보는 해를 기점으로 저출산의 영향을 받아 수험생의 숫자가 줄어든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 때문에 교육주는 매력이 없는 사업을 하는 회사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그 이후 메가스터디의 주가는 내리막길을 걸었다) 이에 나는 그때까지 한 번도 교육 관련 종목을매수한 적이 없었다.

 

하지만 내 생각이 바뀌는 결정적인 계기가 발생했다. 고등학교 3학년 여름방학을 앞두고 나는 대치동 학원에서 수학 공부를 하기 위해서 학교의 최상위권의 친구들에게 어느 수학학원에 다니는지 물어봤다. 그런데 대부분의 최상위권의 친구들은 메가스터디가 아니라 '깊은 생각'이라는 학원에서 한석원 강사의 수업을 듣고 있었다. 한석원 강사의 인터넷 강의는 대성마이맥이라는 사교육서비스업체에서 서비스하고 있었고, 대성마이맥은 상장사 디지털대성의 서비스명이었다.

 

당시의 나는 다음과 같은 생각을 했다. "현재는 메가스터디가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지만, 결국 교육의 트렌트는 대치동을 따라갈 것이고 몇년 후에는 대성마이맥이 온라인 사교육 시장에서 지금보다 훨씬 높은 점유율을 차지할 것이다." 이에 나는 그때 꽤 높은 비중의 자산을 디지털대성에 투자했다. 그 후 나의 예상대로 한석원 강사의 강의 매출은 크게 상승하였으며 그는 대치동 일타강사를 넘어서 수능 수학을 상징하는 스타강사로 자리 잡았다. 디지털대성은 온라인 분야에서 놀라운 성장을 이룩하여 영업이익이 급증했고, 주가 역시 내가 매수했을 때 대비 크게 상승하였다.

 

위에 글을 읽어보면 무엇이든 투자할때는 자기 생활 가까이 있는 것부터 찾아보는게 맞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것이 취미로 컴퓨터 분야 든, 게임분야 등 내가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 분야부터 보게 된다면 그에 관련된 종목들을 

저런 인사이트로 볼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는 코로나로 인해서 비대면 언택트 관련주가 크게 상승중입니다. 다만, 크게 상승한 만큼 주가의 조정이 오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교육주를 뽑는 다면 무엇을 어떤 기준으로 찾아야 할까요?

 

그냥 제가 갑자기 생각이 든거는 일단 초중고등학교에 아는 선생님 혹은 아이들한데 물어보는 것이 제일 빠른것 같습니다. 어떤식으로 비대면 교육을 하는지? 혹은 어떤 프로그램으로 교육중인지? 어떠한 브랜드인지? 어디기관이랑 연결된건지? 혹은 인터넷교육에 대한 개선 사항 및 발전가능성은 어떤 부분이 클것 같은지 등에 대한 부분들을 찾아봐야 될 것 같습니다.

 

시장의 흐름과 경제를 볼 줄 아는 인사이트를 계속 적으로 공부할 수 있게 노력해야겠습니다.

 

<참고자료> 한국뉴딜후속조치에 대한 자료 

출처: http://consensus.hankyung.com/apps.analysis/analysis.list

 

한경 컨센서스

LIST 20 50 80 작성일 분류 제목 작성자 제공출처 첨부파일 2020-09-29 기업 에코프로비엠(247540)양극재 리더의 품격 에코프로비엠(247540)양극재 리더의 품격 양극재 리더의 품격 최보영 교보증권 2020-09-

consensus.hankyung.com

 

한국뉴딜후속조치.pdf
0.57MB

반응형